본문 바로가기
Study/MLops

[MLops] 22020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9일차 - 쿠버네티스 실습 - YAML, minikube 환경 세팅

by 후이 (hui) 2022. 2. 1.
반응형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을 위한 실전 MLOps 올인원 패키지 Online 강의

Part2. ML환경 구축을 위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1. YAML

데이터 직렬화에 쓰이는 포맷 양식 중 하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쓰이는 포맷 

마스터노드에게 데이터 보낼때에는 Json, XML, YAML형식으로 보내야 함 

YAML 형식은 다른 형식에 비해 가독성이 좋은 특징이 있음  

Strict validation - 들어쓰기 줄바꿈에 대해 엄격하게 따짐 

 

 

# 문법 :

* key - value 형식으로 이뤄져있음  - json 과 비슷

* 주석처리도 마찬가지로 # 

* 자료형도 파이썬과 동일 

    yaml 에서 true, yes, y 모두 예약어 

* multiline  --> |, > 를 활용해서 기입 

* 하나의 yaml 안에 여러개의 yaml 을 넣을 때는 ---로 구분하기 

 

 

2. MiniKube 실습 환경 세팅

 

  - VM 재생성 디스크 40 GB로 늘리기 

  VM 만드는 방법은 2일차에 자세히 적어둠 ~ 

https://huidea.tistory.com/234

 

[MLops] 220125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일차 - Virtualbox으로 ubuntu 환경세팅

1. 도커와 쿠버네티스 도커 : containerization, 컨테이너화 하는 기술,  실행 환경자체를 하나의 컨테이너로 패키징 container :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기술, "build once run anywhere"  도..

huidea.tistory.com

 

  - 환경 세팅 - CPU 3개 이상으로 변경 : 설정 - 시스템 - 프로세서 - cpu개수 3개로 변경

 

- 이전과 같이 도커 설치 이후에 minikube 실행시키기

 


필수 링크: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9일차 학습 인증샷  : 

 

 

 

 

오늘은 쿠버네티스 이론에 이어서 YAML 포맷에 대해 배웠다. 

json 과 비슷해서 이해하기 쉬웠지만 아직까지는 어떻게 쓰일지 감이 안온다. 

실습을 좀더 하면 이해되지 않을까 싶다. 

추가 실습을 위해서 환경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듯해서 

이후 내용은 내일 하기로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