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huidea.tistory.com/239
어제에 이어서 도커 이미지 실습을 진행 해보겠다.
어제 만든 도커 이미지를 이제 레지스트리에 띄워보자
1. Docker Registry
1/ docker registry
docker run -d -p 5000:5000 --name registry registry
registry 이미지를 다운 받고
백그라운드로 localhost:5000에 registry라는 이름의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
2/ tag
우리가 생성한 my-image가 방금 생성한 registry를 바라보도록 tag 하는 것
$ docker tag my-image:v1.0.0 localhost:5000/my-image:v1.0.0
$ docker images | grep my-image
grep my-image 는 이미지들 중에서 이름이 my-image 인 것들만 추려내는 것
어제 생성한 my-image 파일과
방금 localhost:5000에 연결한 my-image 두개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 push
이제 localhost:5000에 연결한 my-image 를 registry 도커 컨테이너로 푸쉬해준다.
$ docker push localhost:5000/my-image:v1.0.0
4/ curl -X get
위의 명령어들을 통해 push 가 되었는지 확인 해 볼 수 있다.
localhost 5000 에 레포지토리에 my-image가 push 되었고
my-image 의 태그 리스트도 확인해보면 어제 이미지 생성할때 설정한 v1.0.0을 확인할 수 있다.
2. Docker hub
링크를 들어가서 free계정 만든 뒤 도커를 실행시켜 볼 수 있다.
필수 링크: https://bit.ly/37BpXiC
7일차 학습 인증샷 & 강의 후기 :
오늘은 어제 생성한 도커 이미지를 registry 에 push하는 것 까지 실습을 해봤다. 또 도커 허브에서도 이미지를 push 하는 것 또한 해보았다. 아직은 용어가 다 익숙치는 않은데 그래도 계속하다보면 익숙해지겠지 ! 내일부터는 쿠버네티스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Study > ML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ops] 22020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9일차 - 쿠버네티스 실습 - YAML, minikube 환경 세팅 (0) | 2022.02.01 |
---|---|
[MLops] 22013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8일차 - 도커와 쿠버네티스 개념정리 (0) | 2022.01.31 |
[MLops] 220129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6일차 - 도커 실습 (3) (0) | 2022.01.29 |
[MLops] 220128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5일차 - 도커 실습 (2) (0) | 2022.01.28 |
[MLops] 220127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 - 도커 실습 (1) (0) | 2022.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