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ross-Entropy1 [Machine learning] 우도(likelihood) 총정리 (MLE, log-likelihood, cross-entropy) 머신러닝을 수식 기반으로 뜯어보면 우도 개념이 빈번히 등장하는데, 우도 개념을 확실히 잡고 가보려한다. 우도는 분류 문제의 loss function 으로 Maximum log-likelihood (MLE)로 등장한다. 우도를 이해하기 위해선 확률의 개념과 비교하는게 용이하다. 1. 확률 : PDF의 면적 일반적으로 확률 이라고 하면, 이산형 확률 변수를 생각하기 쉽다. 동전을 뒤집었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 주사위를 던졌을 때 숫자 2가 나올 확률 등등 하지만 우리가 분석하고자 하는 확률이 연속형 확률이라면? 오늘의 낮 최고기온이 20이상 25 이하일 확률은? 고양이의 무게가 4kg 이상 5kg 이하일 확률은? 연속형 확률 변수를 나타낼때는 위와 같이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 2022. 3. 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