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ops] 220202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 minikube, Kubectl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을 위한 실전 MLOps 올인원 패키지 Online 강의
Part2. ML환경 구축을 위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https://huidea.tistory.com/244
[MLops] 22020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9일차 - 쿠버네티스 실습 - YAML, minikube 환경 세팅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을 위한 실전 MLOps 올인원 패키지 Online 강의 Part2. ML환경 구축을 위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1. YAML 데이터 직렬화에 쓰이는 포맷 양식 중 하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쓰이는 포맷
huidea.tistory.com
어제 40G이상의 새로운 가상 환경을 생성했고 도커 설치까지 완료했다. !
0. 쿠버네티스 실습 환경 세팅
- VM 재생성 디스크 40 GB로 늘리기
VM 만드는 방법은 2일차에 자세히 적어둠 ~
https://huidea.tistory.com/234
[MLops] 220125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일차 - Virtualbox으로 ubuntu 환경세팅
1. 도커와 쿠버네티스 도커 : containerization, 컨테이너화 하는 기술, 실행 환경자체를 하나의 컨테이너로 패키징 container :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기술, "build once run anywhere" 도..
huidea.tistory.com
- 환경 세팅 - CPU 3개 이상으로 변경 : 설정 - 시스템 - 프로세서 - cpu개수 3개로 변경
1. minikube, Kubectl 설치
minikube
: mini + 쿠버네티스 의 약자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 구축과정을 줄이고, 하나의 단일 로컬 환경에서 쉽게 쿠버네티스를 체험해볼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젝트
미니큐브의 아키텍쳐는 위의 그림과 같다.
미니큐브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려고 할 때에는 kubectl을 쓰면 된다.
- 이전과 같이 도커 설치 이후에 minikube 의 최신 버전 바이너리를 다운받고 실행하면 된다 !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v1.22.0/minikube-linux-amd64
sudo install minikube-linux-amd64 /usr/local/bin/minikube
이후에 minikutbe --help 를 입력해서 정상 다운로드 확인 가능!
Kubectl 큐브컨트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서버) 에 요청을 간편하게 보내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툴 !
### kubectl 설치 !
curl -LO https://dl.k8s.io/release/v1.22.1/bin/linux/amd64/kubectl
## kubectl 바이너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과 위치 변경 !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 /usr/local/bin/kubectl
kubectl 서버를 생성하지는 않은 상황이라서
kubectl version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localhost:8080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뜨는게 당연하다.
2. minikube 시작
minikube start --driver=docker
위 명령어 입력후 다시 kubectl version 명령어 입력한다면 --> 서버 버전까지 함께 확인됨 (에러 문제 해결)
필수 링크: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10일차 학습 인증샷 :
오늘은 쿠버네티스 실습중 미니큐브를 실행해보았다.
미니큐브는 쿠버네티스의 경량화된 프로그램으로 단일 환경에서 간단하게 실행해 볼 수 있게 한다.
설치와 실행이 비교적 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