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MLops

[MLops] 220131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8일차 - 도커와 쿠버네티스 개념정리

후이 (hui) 2022. 1. 31. 23:02
반응형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을 위한 실전 MLOps 올인원 패키지 Online 강의

Part2. ML환경 구축을 위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1. 쿠버네티스 기본 개념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다양한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것

AWS EKS,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 에져 쿠버네티스 서비스가 쿠버네티스 대표 서비스들 

 

2. 쿠버네티스 컨셉 

1) 선언형 인터페이스 :  원하는 상태라른 것(desired state)이 존재, 최종 결과에 대해 선언  

( =! 명령형 인터페이스와 다름 : 각 단계별 과정을 상세히 명령하는 형식) 

 

2) master node (control plane node)와 worker node 분리되어있음

: 한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서버가 붙어있음  (물리적으로는 분리되어있어도, 사용자는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쓸 수 있음)

 

** control plane node, worker node, API

control plane node 는 여러개의 worker node를 관리하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고, 

요청에 따라 worker node 스케쥴링, 요청 전달

API server : 클라의 요청을 받는 컴포넌트가 바로 

etcd : 클라의 요청을 key value 형식으로 정리

kubelet : control plane으로 부터 명령을 받고, worker node 상황을 전달하는 것 

 

 

 

+) 참고할만한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필수 링크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8일차 학습 인증샷  &  강의 후기 : 

 

 

 

 

쿠버네티스 관련 기본 컨셉만 들었는데, 아직 어려운 부분이 많다, 우선 실습을 먼저하고 이론적으로 궁금한 건 위의 영상이나 다른 자료들을 찾아봐야할 듯하다. 다음 강의는 실습 YAML이다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